300x250
성냥팔이 소녀\100766\5215\10\0\T1Oc8DVRHBQ\https://blog.kakaocdn.net/dn/AizXO/btrtt4Vu7HO/xP7iCmez0uQ5OZInO9sYlK/img.jpg\
성냥팔이 소녀 정보
작사 이상면 작곡 이상면, 이상혁 편곡
Youtube Official
성냥팔이 소녀 가사
내 가슴을 도려내
넌 마냥 행복하구나
아름다움을 위해
쓰레기는 버려지는군
어두운 곳을 가리려
노력하고 있지만
모두 두려워 하는건가
쓰레기가 되보았는가
사람들은 모두
아름답게 불을 밝혀
거리의 모습 마치
파틸 연 것 같아
너의 몸은 그와 함께
춤을 추고 있겠지만
그눈은 서로를 노리고 있겠지
성냥팔이 소녀는
언제나 영원하겠지
따뜻한 소파에서 우리는
감동하고 있을 뿐이야
어두운 곳을 가리려
노력하고 있지만
모두 두려워 하는건가
쓰레기가 되보았는가
사람들은 모두
아름답게 불을 밝혀
거리의 모습 마치
파틸 연 것 같아
너의 몸은 그와 함께
춤을 추고 있겠지만
그눈은 서로를 노리고 있겠지
밤이 새고 또 새고
새하얗게 눈이 내려
백발이 가득한 우린
눈부시게 빛나겠지만
다시 태양이 떠오를 때면
모두 사라지겠지 사라져라
왜 우린 서로의 눈을
피해만 가는지
너는 내눈을 보면은
차가운 미소만
나는 외로워 차가운 눈이 내리네
자꾸만 나의 눈엔 눈물이 흐르네
넌 마냥 행복하구나
아름다움을 위해
쓰레기는 버려지는군
어두운 곳을 가리려
노력하고 있지만
모두 두려워 하는건가
쓰레기가 되보았는가
사람들은 모두
아름답게 불을 밝혀
거리의 모습 마치
파틸 연 것 같아
너의 몸은 그와 함께
춤을 추고 있겠지만
그눈은 서로를 노리고 있겠지
성냥팔이 소녀는
언제나 영원하겠지
따뜻한 소파에서 우리는
감동하고 있을 뿐이야
어두운 곳을 가리려
노력하고 있지만
모두 두려워 하는건가
쓰레기가 되보았는가
사람들은 모두
아름답게 불을 밝혀
거리의 모습 마치
파틸 연 것 같아
너의 몸은 그와 함께
춤을 추고 있겠지만
그눈은 서로를 노리고 있겠지
밤이 새고 또 새고
새하얗게 눈이 내려
백발이 가득한 우린
눈부시게 빛나겠지만
다시 태양이 떠오를 때면
모두 사라지겠지 사라져라
왜 우린 서로의 눈을
피해만 가는지
너는 내눈을 보면은
차가운 미소만
나는 외로워 차가운 눈이 내리네
자꾸만 나의 눈엔 눈물이 흐르네

Crying Nut
크라잉넛 (CRYING NUT)
1998.08.01
앨범설명
1990년대에 Nirvana가 미국에서부터 붙인 얼터너티브라는 불은 한국에서 펑크라는 다른 이름으로 크게 타올랐다. 1990년대 중반, 자본과의 결탁을 거부하고 제작부터 유통까지 '모든 것을 스스로 한다'는 DIY정신의 '인디' 문화가 대두된 것은 이와 연관이 깊다. 그리고 당시 홍대의 조그마한 클럽 '드럭(현 DGBD)'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크라잉 넛은 이 흐름을 이끈 첨병과도 같은 존재였다.
1996년 인디 신의 태동이라 알려진 합작 앨범 [Our Nation]으로 "말 달리자"를 처음 선보인 이들은 일약 인디 신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로 우뚝 섰다. 기존 가요에 없던 배격성, 그리고 절망을 유희로 전환하는 노랫말 등이 화제가 되며 노래는 단숨에 '청년문화의 상징곡' 지위를 획득했다. 무엇보다 그 극으로 '달리는' 분위기 덕분에 노래방 등지에서 많이 애창되고는 했는데, 이 때 정착한 마지막 곡을 "말 달리자"로 선곡하는 노래방 특유의 문화가 지금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노래가 가진 불멸의 생명력을 확인할 수 있다.
흐름을 타고 발매한 이 첫 정규앨범 역시 [Our Nation]에서 먼저 선보였던 "말 달리자"와 "펑크걸"을 재녹음하여 수록하고 있다. 물론 앨범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펑크 록의 주요 특징인 일당백의 기상과 배짱, 그리고 태도다. 첫 곡 "묘비명"에서 노래하는 '꺼져라 껍데기/ 집어쳐라 거짓말/ 남아있는 나의 묘비명아/ 나를 한 번 더 일으켜줘', "뻔데기"의 '아직 때가 안 됐다고 하네/ 내 생각엔 싸워야 할 것 같아' 등의 노랫말이 이를 대변한다.
다른 트랙들에서는 전작 [Our Nation]에서의 "Everyday", "도대체 넌 뭐냐"에서와 같은 트랙에서 나타난 Sex Pistols 식의 막무가내식 삐딱함은 어느 정도 감쇄된, 기존의 외산 평크와는 다른 은유적 가사와 낙천적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청년세대의 무기력증을 노래하면서도 슬프지만은 않은 "갈매기", TV플러그 등의 은유로 탐욕을 노래한 "접속" 등의 트랙이 대표적이다. 이들이 정착시킨 한국식 펑크 록의 초기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값진 의미를 지닌 트랙들이다.
과거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말 달리자"는 여전히 노래방 인기차트 상위권에 머무르고 있고, 그 노랫말은 여전히 우리 현실을 대변하고 있다. 영 좋지 않은 시국에는 노래방이 아닌 길거리에서 울려 퍼지기도 한다. 그 때나 지금이나, 이들이 여전히 진짜 '펑크 로커'로서의 촉과 날을 갖고 있는 덕분이다. 그 날 선 젊음으로 우리들을 쾌활하게 위로한다는 점에서 요즘 같은 때 더욱 크라잉 넛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인디 1세대, 그 중심에 크라잉 넛과 "말 달리자"가 있었다. 더 나은 세상을 향한 그들의 채찍질과 외침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1996년 인디 신의 태동이라 알려진 합작 앨범 [Our Nation]으로 "말 달리자"를 처음 선보인 이들은 일약 인디 신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로 우뚝 섰다. 기존 가요에 없던 배격성, 그리고 절망을 유희로 전환하는 노랫말 등이 화제가 되며 노래는 단숨에 '청년문화의 상징곡' 지위를 획득했다. 무엇보다 그 극으로 '달리는' 분위기 덕분에 노래방 등지에서 많이 애창되고는 했는데, 이 때 정착한 마지막 곡을 "말 달리자"로 선곡하는 노래방 특유의 문화가 지금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노래가 가진 불멸의 생명력을 확인할 수 있다.
흐름을 타고 발매한 이 첫 정규앨범 역시 [Our Nation]에서 먼저 선보였던 "말 달리자"와 "펑크걸"을 재녹음하여 수록하고 있다. 물론 앨범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펑크 록의 주요 특징인 일당백의 기상과 배짱, 그리고 태도다. 첫 곡 "묘비명"에서 노래하는 '꺼져라 껍데기/ 집어쳐라 거짓말/ 남아있는 나의 묘비명아/ 나를 한 번 더 일으켜줘', "뻔데기"의 '아직 때가 안 됐다고 하네/ 내 생각엔 싸워야 할 것 같아' 등의 노랫말이 이를 대변한다.
다른 트랙들에서는 전작 [Our Nation]에서의 "Everyday", "도대체 넌 뭐냐"에서와 같은 트랙에서 나타난 Sex Pistols 식의 막무가내식 삐딱함은 어느 정도 감쇄된, 기존의 외산 평크와는 다른 은유적 가사와 낙천적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청년세대의 무기력증을 노래하면서도 슬프지만은 않은 "갈매기", TV플러그 등의 은유로 탐욕을 노래한 "접속" 등의 트랙이 대표적이다. 이들이 정착시킨 한국식 펑크 록의 초기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값진 의미를 지닌 트랙들이다.
과거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말 달리자"는 여전히 노래방 인기차트 상위권에 머무르고 있고, 그 노랫말은 여전히 우리 현실을 대변하고 있다. 영 좋지 않은 시국에는 노래방이 아닌 길거리에서 울려 퍼지기도 한다. 그 때나 지금이나, 이들이 여전히 진짜 '펑크 로커'로서의 촉과 날을 갖고 있는 덕분이다. 그 날 선 젊음으로 우리들을 쾌활하게 위로한다는 점에서 요즘 같은 때 더욱 크라잉 넛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인디 1세대, 그 중심에 크라잉 넛과 "말 달리자"가 있었다. 더 나은 세상을 향한 그들의 채찍질과 외침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반응형